목차
섬유유연제는 세탁 후 옷을 입었을 때 부드럽고 그 향이 좋아서 많이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세탁을 할 때 어떤 옷이나 패브릭은 섬유유연제가 엄청나게 치명적이라고 하는데요. 그래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특히나 비싼 옷이나 옷감들은 손상되면 복구가 어려우니 잘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섬유유연제를 절대 사용해선 안되는 의류
린넨과 같은 식물성 소재의 옷
여름철에는 시원한 원단인 린넨의 옷을 많이 입는데요. 이 린넨은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식물성 소재이기 때문에 옷에서 식물 줄기가 떨어져 나오게 되는 '잔사'가 생기게 되어 옷의 모양새가 망가지며 흐물거리고 못쓰게 됩니다.
기능성의류
쿨맥스, 고어텍스 등과 같은 원단은 발수, 방수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있어 많이 입게 되는데요. 이 또한 역시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원단의 기능자체가 저하되기 때문인데요. 섬유유연제는 물론 드라이클리닝과 같은 것도 해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이런 기능성 옷의 원단은 대부분이 비싼 소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더욱 주의하셔야 합니다. 특히나 겨울철의 패딩이나 이런 옷도 다운 소재의 공기층에도 손상을 주기 때문에 보온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섬유유연제를 소량쓰거나 안써야 하는 의류
타월(수건)
욕실에서 쓰는 수건도 섬유유연제를 안쓰는 것이 좋은데요. 수건에서 좋은 향이 나면 기분도 좋아지겠지만, 섬유의 흡습성을 떨어뜨리고, 섬유의 마찰력을 저해시켜 실가닥이 빠져나오는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리고 섬유유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수건의 수명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됩니다.
흰 옷
하얀 옷의 경우에도 주성분인 에스터쿼트는 햇빛을 받으면 누렇게 변하게 될 수 있는데요. 즉, 흰 옷의 경우에 섬유유연제를 많이 사용할 수록 변색되기 쉽다는 사실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섬유유연제 성분이 알러지 반응을 일으켜 비염이나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적에 사용하는 것이 의류에도 더 좋다고 합니다.
같이보면 더욱 유용한 글 모음
📌 "절대 이렇게 하지 마세요."연비가 좋아지는 줄 알고 한국인만 한다는 '자동차 기어'를 망가뜨리는 습관
댓글